퍼팅 스트로크 유형 비교 – 아크형 vs 스트레이트백
“스트레이트로 밀었는데 자꾸 오른쪽으로 빠지네요.”
“아크형이 자연스럽다고 들었는데, 감각이 잘 안 잡혀요.”
“내 스트로크는 어떤 유형에 더 가까운 걸까요?”
퍼팅 스트로크에는 두 가지 대표적인 유형이 있습니다.
- 스트레이트백–스트레이트스루 (SBST)
- 아크형 (Arc Stroke)
이 두 가지는
✔️ 퍼터 궤도
✔️ 퍼터 헤드의 움직임
✔️ 팔과 어깨의 사용 방식
✔️ 퍼터의 밸런스 구조
에 따라 전혀 다른 퍼팅 감각을 만들어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 SBST와 아크형 스트로크의 기술적 차이
✔️ 퍼터 유형과의 궁합
✔️ 골퍼별 추천 스트로크 스타일
✔️ 정확한 구분을 위한 테스트 방법
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 퍼팅 스트로크 유형의 구조적 차이
유형 | 백스윙 경로 | 임팩트 순간 | 피니시 방향 |
---|---|---|---|
스트레이트백 | 타겟 라인과 평행 | 정면 타격 | 타겟 방향 유지 |
아크형 | 인사이드-인 궤도 | 살짝 열린 상태 | 좌우 움직임 포함 |
📌 스트레이트백은 직선의 반복,
아크형은 원호 궤도의 반복을 지향합니다.
2. 스트레이트백–스트레이트스루 (SBST) 스트로크
✅ 특징
- 클럽이 지면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움직임
- 손과 어깨 중심의 퍼팅
- 방향 안정성 매우 우수
✅ 장점
- 직진성 뛰어남
- 짧은 거리에서 실수 확률↓
- 일관된 스트로크 루틴 생성 쉬움
✅ 단점
- 장거리 퍼팅 시 거리감 어려움
- 아크가 전혀 없으면 경직된 스윙 발생
- 퍼터 헤드 회전력 낮음 → 스핀 조절 약함
✅ 추천 골퍼
- 초보자 또는 거리보다 방향을 우선하는 골퍼
- 말렛 퍼터 or 페이스 밸런스 퍼터 사용자
- 퍼팅 루틴을 일관되게 만들고 싶은 경우
3. 아크형 스트로크 (Arc Stroke)
✅ 특징
- 퍼터 헤드가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돌아나오는 인투인 형태
- 어깨 회전을 적극 활용
- 자연스러운 궤도로 감각적인 거리 조절 가능
✅ 장점
- 손목과 어깨의 연동감↑
- 중·장거리 퍼팅 거리감 우수
- 감각적인 퍼팅 플레이 가능
✅ 단점
- 방향 안정성은 SBST보다 낮음
- 궤도 유지 어려움 → 연습 필수
- 퍼터 페이스 정렬 유지 어려움
✅ 추천 골퍼
- 중상급자, 거리 감각을 중요시하는 골퍼
- 블레이드 퍼터 or 토 행 밸런스 퍼터 사용자
- 자연스러운 감각 중심 플레이 지향
4. 내 스트로크는 어떤 유형일까? (셀프 테스트)
🟢 테스트 방법
- 실내에서 퍼터와 공 없이 셋업
- 퍼터를 천천히 백스윙 – 피니시 반복
- 클럽 헤드의 궤도 관찰
궤도 | 유형 |
---|---|
직선에 가까움 | SBST |
안쪽으로 휘어짐 | 아크형 |
📌 본인의 스트로크 유형을 먼저 파악한 뒤 퍼터 밸런스 선택까지 연결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5. 스트로크 유형과 퍼터의 궁합
스트로크 | 추천 퍼터 | 밸런스 구조 |
---|---|---|
스트레이트백 | 말렛형, 페이스 밸런스 | 안정적인 직진성 |
아크형 | 블레이드형, 토 행 | 손목 회전 반영 구조 |
📌 퍼터 밸런스와 스트로크 궤도가 서로 상충되면 퍼팅이 흔들립니다.
6. 실전 루틴 적용법
✅ SBST 퍼팅 루틴
- 눈을 공 위 정렬
- 팔로만 백스윙–스트레이트 다운
- 피니시 정지 1초 유지
✅ 아크형 퍼팅 루틴
- 어깨 회전 활용
- 퍼터가 인사이드로 들어갔다 다시 인사이드로
- 피니시 시 클럽 헤드 자연스러운 회전 감각
7. 혼합형 스트로크도 있다?
일부 골퍼는
✔️ 짧은 거리에서는 스트레이트백
✔️ 긴 거리에서는 아크형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경우 퍼터는
→ 세미 토 행 밸런스 or 관용성 좋은 하이브리드형 말렛 추천
마무리 – 퍼팅 스트로크는 나의 몸이 정한다
✔️ SBST는 반복성
✔️ 아크형은 감각
당신의 몸이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궤도를 먼저 알고,
그에 맞는 퍼터 구조와 루틴을 만들어야
퍼팅에서의 흔들림이 줄어들고 스코어는 향상됩니다.
지금 당신의 퍼팅이 잘 안 되는 이유,
혹시 퍼터는 스트레이트인데
스트로크는 아크형 아닌가요?
퍼팅 스트로크 비교, 아크 퍼팅, 스트레이트백 퍼팅, 퍼팅 궤도, 퍼팅 유형, 퍼터 추천, 퍼팅 루틴, 말렛 퍼터, 블레이드 퍼터, 퍼터 궤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