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 옆에 공이? 벌타 없이 구제받는 법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공이 스프링클러 헤드 바로 뒤에 멈췄을 때, 당신의 선택은? 억울한 벌타를 막아주는 또 하나의 ‘천사룰’,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에 대한 무벌타 구제 규정을 알려드립니다. 구제받는 조건부터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을 찾는 방법까지, 스코어를 지키는 스마트한 골퍼의 필수 지식을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골프투데이입니다! 그린을 향해 완벽하게 날아간 공이 하필이면 스프링클러 헤드 바로 뒤에 멈춰 서거나, 고정된 벤치 때문에 스윙조차 하기 어려운 난감한 상황을 겪어보셨나요? 많은 분들이 이런 경우 ‘운이 없었네’ 체념하며 무리하게 샷을 하거나, ‘언플레이어블’을 선언하며 2벌타를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잠깐! 이럴 때 벌타 없이 공을 옮길 수 있는 아주 고마운 규칙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에 대한 무벌타 구제 규정입니다. 😊

 

인공 장애물, 무조건 피해야 할까? 🤔

파크골프 코스에는 경기를 돕거나 코스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인공물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플레이의 일부이지만, 때로는 경기에 심각한 방해가 되기도 하죠. 이때 규칙은 플레이어가 부당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구제 방법을 마련해두고 있습니다. 핵심은 장애물이 ‘움직일 수 있는지 없는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 고무래, 쓰레기통, 음료수 캔 등 쉽게 치울 수 있는 인공물. 벌타 없이 치우고 샷을 하면 됩니다.
  •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오늘 배울 주제로, 땅에 고정되어 쉽게 움직일 수 없는 인공물입니다. 이 경우 ‘무벌타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이란 무엇일까요? ⛳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Immovable Obstruction)’이란, 코스 내에 인공적으로 설치되어 합리적인 노력으로 움직일 수 없는 모든 물체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적인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예시
– 스프링클러 헤드, 배수구 뚜껑
– 땅에 고정된 벤치나 표지판, 기둥
– 코스를 가로지르는 인공 도로나 보도블록 경계석
– 티잉 그라운드의 티마커

 

무벌타 구제! 구제받을 수 있는 조건 ✅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이 근처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구제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반드시 아래의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 조건 1: 스탠스(Stance)의 방해
어드레스 자세를 취했을 때, 발이 장애물을 밟거나 닿아서 정상적인 스탠스를 취할 수 없는 경우

– 조건 2: 스윙(Swing)의 방해
백스윙이나 팔로우스루 시 클럽이 장애물에 닿아 정상적인 스윙을 할 수 없는 경우

💡 알아두세요! 단순 시야 방해는 구제 불가!
장애물이 단지 공과 홀컵 사이의 시야(Line of Sight)를 가릴 뿐, 나의 스탠스나 스윙에 물리적인 방해를 주지 않는다면 무벌타 구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이 경우는 있는 그대로 플레이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구제 절차 (완.가.지) ✍️

구제 조건에 해당된다면, 벌타 없이 다음의 절차에 따라 공을 옮기고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이 순서는 캐주얼 워터 구제와 동일하며, 반드시 알아둬야 할 핵심 내용입니다.

  1. 1단계: 동반자에게 알리기: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로 인한 무벌타 구제를 받겠습니다”라고 명확히 선언합니다.
  2. 2단계: ‘완전한 구제의 가장 가까운 지점(완.가.지)’ 찾기:
    • 장애물로부터 스탠스와 스윙에 전혀 방해받지 않는 완전한 구제가 되면서,
    • 원래 공이 있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찾습니다.
    • 이 지점은 반드시 홀컵보다 더 가깝지 않아야 합니다.
  3. 3단계: 구제 구역 설정 및 공 놓기: 위에서 찾은 ‘완.가.지’를 기준으로, 한 클럽 길이 이내이면서 홀컵에 더 가깝지 않은 구역에 공을 ‘놓고(Place)’ 다음 샷을 합니다.
💡

무벌타 구제 핵심 요약

✨ 구제 조건: 스탠스 또는 스윙에 물리적인 방해를 받을 때! (시야 방해는 X)
✨ 핵심 원칙: 벌타 없이(0벌타) 구제받는 플레이어의 당연한 권리!
✨ 구제 방법: 홀컵에 가깝지 않은 ‘완전한 구제의 가장 가까운 지점’을 찾아 1클럽 이내에 놓고 플레이!

자주 묻는 질문 (FAQ) ❓

Q: OB 말뚝이나 경계석도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인가요?
A: 아닙니다. 코스의 경계를 표시하는 OB 말뚝, 경계석, 페널티 구역(해저드) 말뚝 등은 코스의 일부로 간주되는 ‘경계물’입니다. 경계물로 인해 스윙이나 스탠스에 방해를 받더라도 무벌타 구제를 받을 수 없으며, 있는 그대로 플레이하거나 ‘언플레이어블’을 선언하고 2벌타를 받아야 합니다.

Q: 구제를 받는 과정에서 동반자와 의견이 다르면 어떻게 하나요?
A: 구제 절차, 특히 ‘가장 가까운 구제 지점’을 찾는 것은 동반자들과 함께 상의하며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플레이어의 판단을 우선 존중하되 스코어카드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경기가 끝난 후 경기위원회나 구장 관리자에게 최종 판정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그린 위에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퍼팅 라인을 막고 있어요. 구제받을 수 있나요?
A: 네, 받을 수 있습니다. 공이 그린 위에 있을 때에 한하여,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이 퍼팅 선상에 있는 경우에도 무벌타 구제가 허용됩니다. 이 경우에도 ‘완전한 구제의 가장 가까운 지점’을 찾아 공을 옮긴 후 퍼팅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제 필드 위에서 스프링클러나 배수구를 만나도 더 이상 두렵지 않으시죠? ‘움직일 수 없는 장애물’ 규정은 플레이어를 돕기 위해 존재하는 고마운 규칙입니다. 이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고 당당하게 활용하여 억울하게 타수를 잃는 일 없이 즐거운 라운딩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

댓글 남기기